긴선교 국회의원

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 ( 국민의힘 , 경기 여주 ‧ 양평 ) 이 해양수산부로 부터 제출받은 최근 5 년간 (2020~2024 년 ) 해양쓰레기 유형별 수거 현황을 분석한 결과 , 해양쓰레기는 2020 년 13 만 8,362 톤에서 2021 년 12 만 736 톤으로 감소했으나 , 2022 년 12 만 6,035 톤 , 2023 년 13 만 1,930 톤 , 2024 년 13 만 2,686 톤으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는 등 5 년간 수거량은 총 64 만 9,749 톤으로 조사됐다 .

수거된 해양쓰레기의 유형별로는 해안가쓰레기가 50 만 1,517 톤으로 가장 많았고 , 침적쓰레기 11 만 566 톤 , 부유쓰레기 3 만 7,686 톤 등의 순으로 확인됐으며 , 지역별 해양쓰레기는 최근 5 년간 전남이 19 만 7,033 톤으로 전체의 30.3% 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, 제주 7 만 6,667 톤 (11.8%), 충남 6 만 7,943 톤 (10.5%), 경남 5 만 2,500 톤 (8.1%), 경북 4 만 5,823 톤 (7.1%)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.

한편 , 2020 년부터 2023 년까지 해양쓰레기를 모니터링한 결과 , 총 3 만 9,385 개가 해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고 , 이 중 96.9% 인 38,320 개가 중국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, 2024 년은 예산 미반영으로 조사를 실시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.

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“ 해양쓰레기는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산물 안전도 위협하는 심각한 환경 위험을 초래할 위험이 크다 ” 며 , “ 관련 예산을 배정해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수거의 효율적 관리 등 사전 예방을 통한 선제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” 이라고 말했다 .